7개의 별 북두칠성

북두칠성[北斗七星]
큰곰자리의 꼬리에 해당하는 7개의 별을 총칭하는 말로 그 모양이 국자 모양과 유사하다. 7개의 별 모두 2등 내외의 밝은 별이고 예로부터 항해 활 때 길잡이가 되었다고 한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별자리라고 알려져 있다.

Big dipper
북두. 북두성. 칠성이라고도 하는 북두칠성 별자리는 우리나라 민간신앙에서 별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 예는 거의 볼 수 없느나, 북두칠성에 대한 신상은 매우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다. 아마 그것은 불교의 칠원성군 신앙이나 도교의 칠성신앙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중부지방의 무속에서는, 무녀들이 신체로 삼고 있는 동경(銅鏡)인 명도(明圖:무당이 수호신으로 위하는 청동 거울)에 칠성을 그리거나 문자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천체로서의 칠성을 명도와 결합시켜 신체화 한 것이다.
때로는 칠성단이라는 단을 쌓고 그 위에 정화수를 놓아 신체로 삼기도 하는데, 그것은 물(비)의 신으로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는 뱀이나 용으로 상징되기도 하고, 불교사찰이나 무녀의 신당 안에 인격신으로 그림으로 표현되어 모셔져 있기도 하다.
하늘을 상징하는 뜻에서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신으로 생각되어 '칠성님께 명을 빈다.' 는 말이 있고, 또 단명으로 태아난 아니의 운명을 북두칠성이 고쳐 주어 장수하였다는 신화가 있어, 수명과 인간의 운명을 관장하는 별자리라고도 한다.
또 비를 내려 농사를 풍년들게 하는 점에서 재물의 신으로도 모셔진다. 특히 제주 지방에서는 칠성신이 뱀으로 상징되어 지기도 하고, 집의 재물신으로도 모셔지고 있다고 한다. 이들 칠성신앙이 반드시 하늘에 있는 칠성신을 모시고 있는 것은 아닐지라도, 하늘, 비, 별을 추상화하고 신앙화 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북두칠성은 효성스런 일곱 아들이 죽어 된 것이라고 하거나, 바리공주 무가에서는 바리공주가 낳은 일곱 아들이 죽어 하늘에 올라가 된 것이라고도 한다. 모두 적어 별이 되었다는 것으로, 별의 인격신화를 말해주기도 한다.

우리나라 에서는 국자모양의 별자리라고도 많이 알려져 있지만, 큰 곰자리의 꼬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7개의 별을 총칭하는 말고 북두칠성이라고 하기도 한다.
북두칠성을 이루는 일곱 별의 이름은 다음과 같이 불린다.

북두칠성의 별자리 중 미자르와 같은 방향으로 지구 관측자로부터 3광년 정도 더 뒤로 가면 알코르(근콤자리 80)가 있다. 둘은 바로 옆에 있는 것 처럼 보이는 안시 이중성으로, 알코르는 자체만으로 놓고 보면 4등급 정도로 맨눈으로도 충분히 볼 수 있으나, 바로 옆에 보이는 미자르가 상대적으로 밝기 때문에 구별하여 보기 어렵다고 한다. 따라서 옛날에는 알코르를 식별할 수 있는지의 여부로 시력을 쟀다고 한다. 미자르는 네 개의 별로 이루어진 사중성계인데, 1617년 미자르가 쌍성 구조임을 밝혔으며, 1889년 분광쌍성 구조까지 포함되어 있음을 알아냈다고 한다. 북두칠성에 속한 일곱 별들 중 다섯개는 큰곰자리 운동성난의 구성원들이다. 다만 두베와 알카이드는 이들과 상관없는 존재라고 한다. 그 이유는 이 두별은 나머지 다섯과는 다른 방향으로 우주 공간을 움직이기 때문이다. 각자 움직이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북두칠성의 모양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변하고 있는데, 약 5만년 후 북두칠성은 더 이상 우리가 알고있는 형태가 아닐 수도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