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비트코인해외선물

RSI 지표를 이용해서 주식 매수매도 타점을 잡는법/비트코인/해외선물

earthgosari 2021. 2. 22. 18:20
반응형

RSI(Relative Strength Index)

◈ RSI(Relative Strength Index)란?

 

RSI(Relative Strength Index)란? 주식, 선물, 옵션, 비트코인 등의 기술적분석에 사용되는 보조지표로서 RSI는 우리나라말로 상대강도지수라고 불리고 있으며, 가격의 상승과 하락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1978년 미국의 윌레스 와일더(J.Welles Wilder Jr.)가 개발한 많은 트레이더들이 자주 사용하는 보조지표중 하나이다.


RSI(Relative Strength Index)

◈ RSI 적용방법

 

Welles Wilder는 RSI가 70% 이상을 초과하면 과매수, 30% 이하로 내려가면 과매도로 규정했다.

 

RSI 70% 이상 = 과매수로 인한 매도전환

RSI 30% 이하 = 과매도로 인한 매수전환

 

RSI를 간단하게 매매에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위에 그림과 같이 RSI 가 동그라미 안으로 진입했다면 과매수 혹은 과매도 구간이라 판단을 하고 캔들이 상승중일 때는 매도전환, 캔들이 하락 중일 때는 매수전환을 하면 되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지표가 그렇듯 현재 차트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함이지 지표가 과매수 과매도 구간에 있다고 무조건 매수나 매도를 하면 안된다. 

RSI(Relative Strength Index) 과매수

다음과 같이 RSI가 70 선을 뚫고 올라갔다고 과매수 구간으로 판단을 해 매도진입을 하거나 청산을 했다면, 추세가 연장되는 경우 손실을 보거나, 너무 일직 청산을해서 이익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RSI(Relative Strength Index) 매수진입 시점

초보자의 경우 차트가 다음과 같은 그림이 되었을 때 매수 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RSI가 30% 밑으로 내려간다면 우선 관망을 하고 있다가 30%선 위로 뚫고 올라온다면 매수하는 방법으로 매수타점을 잡을 수 가 있다. 매도 시점은 반대로 RSI가 70%위로 뚫고 올라간다면 관망을 하다가 70%선 밑으로 내려온다면 매도시점으로 파악한다면 보다 더 정확하고 안전하게 매매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지만 이 방법의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 RSI는 후행성 지표이기 때문에 미리 차트를 예측할 수도 없고 RSI가 30% 뚫고 올라왔다가 바로 내려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경험이 많은 트레이더가 아닌 이상은 충분히 검증 후 진입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외에도 RSI 지표를 이용해 보다 더 다양하게 매매를 할 수 있지만 그 방법은 다음에 다뤄야겠다.


RSI(Relative Strength Index) 다이버전스

◈ RSI + Divergence 

 

매매를 하는데 RSI를 보다 더 전문적이고 정확성있게 사용하고 싶다면, RSI Divergence (다이버전스)를 상용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실제로 내가 매매하는데 있어서 자주 참고하는 방법으로 추세반전을 예측할 때 상당히 도움이 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그렇다면 우선 Divergence(다이버전스)가 뭔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 다이버전스(Divergence)

 

다이버전스(Divergence)란 쉽게 말해 가격이(캔들) 상승해서 신고가를 갱신했지만, RSI 지표는 전고점을 갱신하지 못했다면, 이는 추세가 반전됨을 의미한다. 다이버전스는 RSI 이외에도 여러 지표에 적용되는 개념이지만, 다른 지표에 비해서 RSI의 다이버전스가 신뢰성이 높기 때문에, 많은 트레이더들이 참고를 하면서 매매를 하고 있다. 

 

RSI + Divergence 응용 매매방법

 

위의 그림을 보면 다이버전스가 어떤 의미인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일 왼쪽을 보면 캔들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고점을 갱신하고 있는데, 반대로 RSI는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곳 매수새가 약해지고 매도 새력이 강해질 것이라는 신호로 청산 혹은 매도 포지션 진입 시점으로 판단하면 된다. 반대로 두번째 화살표 처럼 캔들이 지속적으로 하락을 하고있지만, RSI가 과매도 구간에 진입을 했다가 전 저점을 깨지 못하고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매도추세에서 곧 매수 추세로 전환될 것이라는 신호로 매수진입시 좋은 타이밍이 된다. 하지만 다이버전스가 생겼다고 무조건 진입과 청산은 옳지 않다. 실패한 다이버전스도 존재하기 때문에, 충분한 경험과 검증으로 매매에 도움이 되도록 하자. 다음글은 RSI 와 Divergence를 보다 더 확실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반응형